전공 및 교육과정
체육교육
석사과정
체육교육
체육교육 전공은 학교체육에서 체육을 지도할 수 있는 양질의 교사 양성을 목표로, 이를 달성하기 위해 체육교육의 여러 가지 이론과 실기교수능력 계발 및 체육교수방법을 익힐 수 있는 다양한 강좌를 개설·운영하고 있다.
전공별 교수진 현황
이대형
- 세부전공건강교육
- 연구실032-540-1251
- 이메일ldh1381@ginue.ac.kr
이강순
- 세부전공무용교육
- 관심영역문화예술교육, 창의인성교육
- 연구실031-470-6253
- 이메일leeks313@ginue.ac.kr
저서
- (2006). 자유롭게 움직이고 자연스럽게 표현하고. 서울: 북스힐.
- (2008). 봉산탈춤. 서울: 교육과학사.
- (2014). 재미있는 101가지 준비운동/정리운동. 서울: 레인보우북스.
- (2017). 신체활동영어. 서울: 레인보우북스.
- (2018). 초등학교 체육 3-4학년군 교과서 및 지도서. 서울: 와이비엠.
- (2019). 초등학교 체육 5-6학년군 교과서 및 지도서. 서울: 와이비엠.
논문
- (2020). 교육대학교 '초등무용교육' 강의의 교육적 의미 탐색.
- (2020). 초등학교 스트리트 댄스 수업에 관한 내러티브. 한국초등체육학회지.
- (2020). 공감 능력 향상을 위한 초등 무용 교육과정 설계, 한국초등체육학회지.
- (2020). 힙합댄스를 활용한 초등학교 주제표현 수업 이야기. 한국초등체육학회지.
- (2021). 놀이를 활용한 표현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급 소속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체육학회지.
김재운
- 세부전공스포츠사회학
- 관심영역스포츠와사회/ 여가교육
- 연구실031-470-6258
- 이메일cwkim1@ginue.ac.kr
저서
- 육상경기 지도서(2014). 레인보우 북스.
- 즐거운 게임수업(2009). 레인보우 북스.
- 여가학총론(2008). 레인보우 북스.
논문
- (2020)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여가자원 요인. 여가문화학회.
- (2018) 테니스 동호회 활동에서의 여가문화 탐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 (2018) 대학교 스포츠동아리활동의 교육적 의미 고찰. 한국홀리스틱융합연구.
유미희
- 세부전공무용사
- 관심영역춤인류학, 문화예술, 융합교육
- 연구실031-470-6255
- 이메일terpsi2001@ginue.ac.kr
저서
- 2009개정, 2015개정 초등학교 체육 3,4,5,6교과서, 지도서 표현활동집필,금성출판사.
- 서울역사편찬원(2019)편저, 근현대 서울사람들의 여가생활; 서울의 댄스문화 집필.
논문
- (2015) 무용예술을 활용한 초등학교 다문화 무용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무용예술학연구.
- (2016) 무용예술을 활용한 중, 고등학교 다문화 무용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무용예술학연구.
- (2020) 교육대학 온라인 무용수업에 대한 자문화기술지연구, 무용예술학연구, 2020.
이제행
- 세부전공체육교육
- 관심영역체육학연구 방법론, 체육실기지도방법론
- 연구실032-540-1383
- 이메일jeng@ginue.ac.kr
저서
- (2008). 팀 활동하기의 원리와 실행. 서울: 대한미디어
- (2014). 모두를 위한 체육가르치기. 서울: 대한미디어
- (2019). 체육교과교육론. 경기: 정민사
이승범
- 세부전공운동생리학
- 연구실031-470-6257
- 이메일sblee@ginue.ac.kr
고문수
- 세부전공스포츠교육학
- 관심영역체육교육과정, 질적연구, 체육 논리 및 논술
- 연구실032-540-1257
- 이메일msko@ginue.ac.kr
저서
- (2015). 초등체육수업론. 파주: 교육과학사.
- (2018). 초등체육교육론. 파주: 교육과학사.
- (2018). 뉴스포츠를 활용한 체육수업. 파주: 이담북스.
- (2019). 대학교수의 체육이야기. 파주: 한국학술정보.
논문
- (2020).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대비한 스포츠교육 연구와 실천.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 (2020). 초등 예비교사교육자가 골프수업을 하는 과정에서 주목하는 교수 측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020). 초등 예비교사의 체육수업 참여함의 속성과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020). 대학교수의 사직과 이직 경험에 관한 셀프연구. 교육문화연구.
- (2020). 초등 1정 연수에서 주목한 교수 경험에 관한 셀프연구. 한국초등체육학회지.
윤성준
- 세부전공운동생리학
- 연구실031-470-6256
- 이메일yun-111-@ginue.ac.kr
백준형
- 세부전공스포츠교육학
- 관심영역체육교사교육, 테크놀로지 융합체육교육, 운동학습, 장애인체육교육
- 연구실031-540-1259
- 이메일junbaek@ginue.ac.kr
저서
- (2021). 초등체육수업론. 파주: 교육과학사
논문
- (2021). Inflential research articles involving physical education: A bibliometric analysis,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Management,..
- (2021). Physical education teachers’ online teaching experiences and perception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 (2021). 포괄적 학교-기반 신체활동 프로그램(CSPAP)에 대한 체계적 문헌 분석, 한국초등체육학회지.
- (2021). 데이터 시각화를 통한 체육교육방안 탐구, 대한스포츠융합학회지.
- (2020). 팀 스포츠교육을 통해 인지된 내적동기 및 기대가치,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 (2020). 태권도 수련생 학부모들의 태권도 수련결정 및 지지 동기와 만족도에 대한 심층탐구, 국기원 태권도연구.
- (2020). 중강도 유산소 운동이 음주습관을 가진 중년남성의 간 기능지표 및 항산화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이희수
- 세부전공스포츠교육학
- 관심영역체육교사교육, 신체활동증진프로그램, 융합체육교육, 전인교육
- 연구실032-540-1254
- 이메일daco00@ginue.ac.kr
논문
- (2021). 예비초등교사들의 체육교과 안전영역 교수를 위한 역량 및 직전교사교육과정의 역할 탐색. 한국사회체육학회.
- (2020). 예비체육교사의 교실 내 수업실연 준비과정 및 경험 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
- (2020). 다문화 가정 학생의 확대에 따른 체육교과 중요성에 대한 예비초등교사의 인식. 한국사회체육학회.
- (2018). 예비초등교사가 인식하는 체육교과의 교수 자신감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
- (2018).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ervice Learning Experiences Related to Comprehensive School Physical Activity Programming. Journal of teaching physical education.
전공사무실
전공 | 직책 | 구분 | 구내전화번호 인천)032-5401- 경기)031-4706- |
---|---|---|---|
전공사무실 | 조교 | 야간제 | 인천)250 |
조교 | 계절제 | 경기)2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