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키워드검색
전공 및 교육과정

다문화교육

다문화교육전공과정은 석사와 박사과정으로 운영된다. 세계화에 따른 활발한 국제문화교류, 이질화된 남북문화와 통일 대비, 그리고 최근 급속하게 형성되고 있는 한국의 다문화사회화 과정을 연구하고, 이에 필요한 교육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개설되었다.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여 연구자와 실천가를 양성하며, 소정의 과목을 이수하면 법무부의 위탁을 받아 다문화사회전문가 자격도 수여한다.

전공 교수진 현황

정문성

  • 세부전공사회교육
  • 관심영역다문화교수법,다문화연구 질적·양적 연구방법론, 협동학습, 토의·토론수업
  • 연구실031-470-6228
  • 이메일msjeong@ginue.ac.kr
저서
  • 협동학습의 이론과 실천
  • 다문화사회교수방법론
  • 토의토론수업방법99
  • 초등사회과교육,사회과교수학습법
논문
  • 초등교사의_문화다양성인식이 문화다양성교육목표와 문화소통역량 인식에 미치는 영향(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2024)
  • 재외동포 한글학교 교사의 삶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열린교육연구, 2022)

이윤정

  • 세부전공의류직물전공
  • 관심영역의생활교육, 다문화교육, 생활문화
  • 연구실031-470-6286
  • 이메일yunjlee@ginue.ac.kr
논문
  • 결혼이주여성의 온라인 생활문화 쓰기 수업 사례 연구(학습자중심교과교육, 2023)
  •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 교사의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인식 연구(학습자중심교과교육, 2021)
  • 재정착난민 멘토링을 통한 멘토 경험에 관한 연구(교육문화연구, 2021)
  • 탈북대학생의 한국 사회와 대학 생활 적응에 관한 생애사연구 -교육대학교 학생을 중심으로-(교육논총, 2020)
  • 사회통합프로그램(KIIP)의 단계별 평가체계에 관한 분석 및 개선 방향(다문화교육연구, 2020)

박철희

  • 세부전공교육사회학
  • 관심영역교육복지, 다문화교육, 교육정책
  • 연구실032-540-1496
  • 이메일chpark@ginue.ac.kr
저서
  • 다문화교육
  • 다문화교육의 이해와 실천
  • 혁신학교에 대한 교육학적 성찰
논문
  • 다문화학생 밀집학교의 교육현실과 과제: 서울 서남부 지역 초등학교를 중심으로(다문화교육연구, 2016)
  • 미국의 소수자 교육정책 연구: 원주민과 멕시코계 미국인 언어교육정책을 중심으로(교육논총, 2014)
  •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제언(교육과정연구, 2010)
  • 다문화교육의 관점에 기초한 초등 사회·도덕 교과서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교육사회학연구, 2007)

장인실

  • 세부전공교육과정과 수업 전공
  • 관심영역다문화교육, 교육과정개발, 창의적체험활동, 교수학습방법
  • 연구실031)470-6379
  • 이메일ichang@ginue.ac.kr
저서
  • 다문화교육
  • 다문화교육의 이해와 실천
  • 교육과정
  • Second international handbook of urban education
  • Adolescent psychology worldwide: Global perspectives on risks, relationships, and development
논문
  • 이주배경 아이들로부터 포용교육 배우기(교육과정연구, 2023)
  • 이중언어를 활용한 교과수업이 초등 베트남 다문화학생에게 미치는 영향(다문화교육연구, 2023)
  • 다문화가정 학부모들의 다문화교육 지원 정책에 대한 인식분석(다문화와 평화, 2023)
  • 다문화학생 밀집지역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 역량에 관한 연구(다문화교육연구, 2022)
  • 성인 문해 학습자의 학습 변화 양상과 학습의 의미: 생애사를 중심으로(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2)
  • 초등학교 수업에서의 학습자 행위주체성 사례연구: 교사의 관점을 중심으로(교육과정연구, 2022)
  • 초등학교 신규 교사의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경험에 대한 사례 연구(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1)
경력
  • 현 한국다문화교육학회 학회장

설규주

  • 세부전공사회교육
  • 관심영역다문화사회의 시민성과 인권, 다문화사회의 미디어, 다문화교육과 교과서 및 교육과정
  • 연구실031-470-6226
  • 이메일qzoos@ginue.ac.kr
저서
  • 다문화교육의 이해와 실천
  • 시민교육론
  • 한국시민교육론
  • 사회과교수학습법
  • 초등사회과교육
논문
  • 소수자 혐오 문제에 대한 사회과교육의 대응 방안 모색 (시민교육연구, 2023)
  • 이민자를 위한 사회통합 프로그램 교재의 한국 사회문화 관련 내용 분석 (열린교육연구, 2022)

이혜정

  • 세부전공교육사회학
  • 관심영역학교교육에서의 소수자, 교육과 젠더, 사회정의교육
  • 연구실031-470-6315
  • 이메일nanbaram@ginue.ac.kr
저서
  • 혐오, 교실에 들어오다(2019, 공저)
  • 우리들의 불평등한 학교(2021, 공저)
논문
  • 빈곤, ‘공부’ 그리고 학교(교육사회학연구, 2017)
  • 여성 교사 연구에 대한 젠더 분석(교육사회학연구, 2020)

조규희

  • 세부전공초등영어교육 전공
  • 관심영역제2언어 습득, 제3언어 습득, 외국어교육 교수학습 방법
  • 연구실032-540-1334
  • 이메일kyuhee@ginue.ac.kr
저서
  • (공저) 지구촌과 함께하는 세계시민
  • (공저) 인천을 품고 세계로 향하는 동아시아시민
  • (공저/변화의 시대, 초등교육을 논하다.) 다문화 시대의 초등영어교육: 외국인 학생은 제3언어 영어를 어떻게 습득할까?
  • (공저) 초등영어교육
  • (공저) 초등영어교재연구
논문
  • 외국인 아동의 L2(제2언어) 한국어 및 L3(제3언어) 영어 학습 동기 비교 연구(초등영어교육, 2023)
  • 5-6학년군 외국인 아동 학습 한국어 지도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에 관한 협력적 실행연구(한국어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2)
  • The role of cross-linguistic morphological congruency and L2 proficiency in the L3 acquisition of English plural marking(International Journal of Multilingualism, 2022)
  • Children's interpretation of negation and quantifier scope in L3 English(Bilingualism: Language and Cognition, 2021)

중점 교육 영역

[교육목표측면]

  • 이론적 지식 함양: 다문화교육의 이론적 기초와 최신 연구 동향을 깊이 있게 이해
  • 연구 역량 강화: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연구 능력을 배양
  • 현장 전문가 역량 개발: 다양한 교육 현장에서 다문화 관련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실천적 능력 제고
  • 글로벌 리더 양성: 국제적인 감각을 갖춘 다문화교육 전문가로서의 자질을 함양

[프로그램 측면]

  • 다학문적 접근: 서로 다른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 교육학을 기초로 하되, 법과 시민, 경제, 사회문화 등 제 사회과학의 다양한 학문 분야의 이론과 방법론을 통합하여 연구
  • 실습 중심의 연구방법: 실증주의에 기초한 양적 연구, 해석학에 기초한 질적 연구의 다양한 방법들을 실습중심으로 교육하여 다문화현상을 다양한 연구방법론을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기름
  • 현장 전문가 양성: 실제 교육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문화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현장 체험 학습, 워크숍, 실무자 강의 등을 통해 현장 전문가 양성
  • 국내외 교류: 국내외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협력 프로그램을 통해 다문화교육 연구공동체로 서 연구와 경험을 공유하고, 활발한 학회 활동을 통해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또한 글로벌 시각에서 다문화교육을 연구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개인 맞춤형 지도: 지도 교수를 중심으로 학생 개개인의 연구 관심사와 경력 목표에 맞춘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

교육과정

각 전공별 교육과정은 대학원요람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교육과정 바로가기

전공 특전

  • 법무부의 위탁을 받아 소정의 과목을 이수하면 다문화사회전문가 자격 수여
  • 박사과정의 개설로 이론과 실무능력을 갖춘 모든 영역에서 다문화전문가로서 활동할 수 있음

전공의 주요 활동 및 성과

  • 2012년 다문화교육전공(석사과정)을 개설하여 24년 2월 현재 152명의 석사를 배출함
  • 다문화교육전공을 이수하고 졸업한 대학원생은 통합사회강사, 유치원 교원, 초등학교 교원, 중등학교 교원, 시민단체 봉사자, 한국어강사, 다문화관련 행정부처 직원, 일반 회사 직원 등 다문화 관련 다양한 단체와 조직에 근무하였고, 현장에 돌아가서 다문화전문가로서 열심히 활동하고 있음
  • 2024년 박사과정의 개설로 본 대학의 석사과정 졸업생은 물론 타 대학원의 석사학위소지자는 박사과정을 지원할 수 있으며 더욱 학문적, 실천적 연구를 통하여 자신의 꿈을 실현할 수 있음